젖소에 대한 젖소가 늙으면 도축해서 육우로 처리하나요?#요즘궁금한 #젖소
젖소가 늙으면 도축해서 육우로 처리하나요?#요즘궁금한 #젖소
안녕하세요? 축산의 미래를 선도하는 축산유통 전문기관 '축산물품질평가원' 입니다.
젖소의 경우 미경산(새끼를 낳은 경험이 없는) 암소고기와 젖소 숫소고기, 젖소 거세우 고기는 육우로 구분을 하고 경산우(새끼를 낳은 경험이 있는 소)의 경우에만 젖소고기로 구분을 합니다.
▶ 국내산고기 : 한우고기, 젖소고기, 육우고기 (검역계류장도착일로부터 6개월 이상 국내에서 사육된 수입생우에서 생산된 고기를 포함), 국내산(한우고기), 국내산(육우고기:호주), 국내산(육우고기), 국내산(젖소고기)
▶ 수입고기 : 검역계류장도착일로부터 6개월 미만 국내에서 사육된 수입생우, 냉동상태로 수입, 수입산(미국), 수입산(호주)
▶ 육우고기 : 육용종, 교잡종, 젖소수소 및 송아지를 낳은 경험 없는 젖소암소에서 생산된 고기, 6개월 이상된 수입생우
▶ 젖소고기 :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있는 젖소암소에서 생산된 고기
한우와 유우(젖소), 육우(고기소)는 소의 품종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를 구분할 때 육용종, 유용종, 역용종 으로 구분합니다.
육용종은 고기생산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품종으로 한우, 샤롤레, 헤어포드, 브라만, 엥거스, 브란거스 등등과 종간교잡을 통해 태어난 교잡우 등이 이에 속하고, 유용종은 우유생산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품종으로 건지, 저지, 브라운스위스, 에어셔, 홀스타인 등이 이에 속합니다. (국내에서 젖소라고 하면 대부분 홀스타인을 말합니다)
역용종은 농사나 운송 등에 이용하려는 목적으로 사육하는 품종으로 과거의 한우, 동남아지역의 물소 등이 이에 속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www.ekape.or.kr)이나 축산유통정보 다봄(www.ekapepia.com)을 방문하시면 축산관련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상기 답변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