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선생님이 되고싶어요 안녕하세요 특성화고 졸업을 앞두고 있는 3학년입니다.전공이 적성에 잘맞고 사람들 가르치는걸
안녕하세요 특성화고 졸업을 앞두고 있는 3학년입니다.전공이 적성에 잘맞고 사람들 가르치는걸 좋아해서 선생님이 되고싶습니다. 과목은 전공에 맞는 전기분야로 하고싶고요.그래서 전기계열 선생님이 되기위한 학교를 찾고싶어요.전기교육과 또는 전기교직이수가 되는 학교를 찾아주실 수 있을까요?
전기 분야 선생님이 되는 두 가지 방법
1. 사범대학 '전기교육과' 또는 '전기전자교육과' 진학
가장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사범대학 내에 전기 관련 교육과가 개설된 학교에 진학하여 졸업하면 중등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장점: 교원 자격증 취득이 보장됩니다.
단점: 개설된 대학의 수가 많지 않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전기교육과' 또는 '전기전자교육과'가 개설되어 있는 주요 국립대학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교육과
이 외에 과거에 있었거나 명칭이 조금 다른 유사 학과가 있을 수 있으므로, 지원 시점의 입학 요강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일반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등 관련 학과 진학 후 '교직이수'
두 번째 방법은 일반 대학교의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등 관련 학과에 진학하여 교직이수 과정을 신청하고 이수하는 것입니다.
장점: 전기 관련 학과가 전국적으로 매우 많아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단점: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교직이수는 학과 내에서 성적 상위 10% 이내의 학생에게만 기회가 주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우 우수한 학업 성적을 유지해야만 교직이수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교직 과목 추가 이수: 전공 과목 외에 교육학 과목들을 추가로 이수해야 합니다.
졸업 후 임용고시 합격: 교직이수를 마쳐도 바로 선생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중등 임용고시에 합격해야 합니다.
교직이수가 가능한 전기 계열 학과가 있는 주요 대학교 (예시):
거의 모든 대학교의 공과대학 내에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자공학과 등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습니다.
서울 주요 대학: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강대학교, 중앙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시립대학교,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홍익대학교, 숭실대학교, 국민대학교, 광운대학교, 세종대학교, 단국대학교,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등
지방 거점 국립대: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전북대학교, 강원대학교, 제주대학교 등
선생님이 되기 위한 핵심 준비 사항:
높은 내신 성적 유지: 어떤 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든, 그리고 대학에 진학해서 교직이수를 하든, 가장 중요한 것은 내신 성적입니다. 특성화고에서 우수한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학 및 과학 역량 강화: 전기 분야는 수학과 물리의 기본 개념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해당 과목들을 깊이 있게 학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생부 관리:
전공 관련 활동: 전기 분야에 대한 본인의 흥미와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동아리 활동, 교내 대회 참가, 관련 자격증 취득(기능사 등), 독서 활동 등을 학생부에 잘 기록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교육 봉사 또는 멘토링: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을 좋아한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는 교육 봉사활동이나 교내 멘토링 활동 등도 좋은 경험이 됩니다.
정보 탐색: 각 대학교의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최신 입학 요강을 확인하여 '교직이수'가 가능한 학과인지, 교직이수 선발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꼼꼼히 살펴보세요.
선생님의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부터 꾸준히 노력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