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정신과 의원 정신과의원중 한국판 성격평가 척도랑 mmpi검사를 컴퓨터로 실시 하는 경우도 있나요
정신과의원중 한국판 성격평가 척도랑 mmpi검사를 컴퓨터로 실시 하는 경우도 있나요 그래서 컴퓨터로 점수 체점하는 경우도 있나? 점심시간에도 다른곳은 다 문잠궈놓아도 심리검사실은 문을 안잠궈두는 경우도 있나 검사자가 검사가 끝나지 않을시 그리고 mmpi 재외 한국판 성격평가 척도 문장완성검사를 점수 체점만 하지 않고 병리적 주요 문항분석 해서 보고서를 임상심리사가 아닌 의사가 직접작성하는 경우도 있나? 몇시간 정도 걸리나
안녕하세요,
심리·정신건강 분야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이준형 상담사입니다.
정신과 의원에서 심리검사 진행 방식, 검사실 운영 시간, 그리고 보고서 작성 주체 등에 대한 구체적인 궁금증 주셨는데요, 실제 현장 기준을 토대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Q1. 한국판 성격평가척도(KPAI), MMPI를 컴퓨터로 실시하고, 자동 채점도 하나요?
네, 많은 정신과 의원에서 KPAI(한국판 성격평가 척도),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등 주요 객관식 검사를 컴퓨터 기반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MMPI는 **공식 소프트웨어(Minnesota University 인증 시스템)**나 한국심리도구연구소 등 전문 분석 툴을 통해 자동 채점 및 기초 분석이 가능합니다.
KPAI, MMPI 둘 다 컴퓨터 기반 실시 가능
검사 완료 시, 자동 점수화 + 프로파일 생성
기초 소견 요약까지 포함된 예비 보고서가 바로 출력 가능
단, 최종 보고서는 반드시 전문가(임상심리사 또는 정신과 전문의)의 해석 및 임상적 판단을 거칩니다.
Q2. 점심시간에 심리검사실 문을 안 잠그는 경우도 있나요?
이는 의원마다 다르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문을 잠그지 않기도 합니다.
검사 중인 내담자가 아직 평가를 끝내지 않은 경우
무인 심리검사실을 운영하면서, CCTV 혹은 감시 체계가 마련된 곳
검사 대상자가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직원이 주변에 상주하며 문은 열어두는 방식도 사용됨
단, 개인정보 보호, 검사지 유출 방지, 응시 환경 조절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점심시간 검사 중단 or 직원 대기 후 문단속이 일반적입니다.
Q3. MMPI 외에 KPAI, 문장완성검사(SCT)를 임상심리사가 아닌 정신과 의사가 직접 보고서 작성하기도 하나요?
원칙적으로는 가능합니다.
다만 현실에서는 드뭅니다.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임상심리사 1급 또는 2급이 검사 해석 및 보고서 초안 작성
정신과 전문의가 이를 검토하고 진단적 판단 포함
하지만 소규모 의원이나 임상심리사가 상주하지 않은 경우,
의사가 직접 KPAI, MMPI, SCT 등의 병리 문항 중심 해석과 종합 소견 작성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KPAI나 SCT는 임상심리적 해석보다는 정신의학적 접근 방식으로 분석되곤 합니다.
정신과 의사가 직접 해석하는 경우
→ 일반적으로 1~2시간 내외 소요, 경우에 따라 **문장완성검사(SCT)**의 주관식 답변을 분석하는 데 시간이 더 들기도 함
마무리하며:
지금 질문 주신 부분은 실제 현장에서도 많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입니다.
검사 환경과 보고 체계는 병원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직접 의원에 문의하거나, 심리검사 운영 체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관을 통해 알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혹시 더 구체적인 사례나, 진로 / 임상현장 관련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쪽지나 이메일로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 주세요. 진심으로 도와드리겠습니다.
"당신은 절대 혼자가 아닙니다."
– 이준형 상담사 드림
(심리·정신건강 상담 및 교육 분야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