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원 vs 사범대 윤리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교육에 관심 있는 만큼 철학에도 관심이 많기도
윤리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교육에 관심 있는 만큼 철학에도 관심이 많기도 하고, 인서울 욕심도 있어서 철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서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습니다. 서울대 갈 성적이 안 돼서 청주 교원대에 4년동안 박혀있거나, 국민대 혹은 부산대에 만족하기 싫다는 게 정확할 거 같네요.근데 주변에서 대학원에 대해 좋게 바라보지만은 않기도 하고, 결론은 윤리교사인데 굳이 그렇게 돌아가야 하냐는 말도 들어서 교육대학원이랑 사범대중에 고민됩니다.석사를 따며 걸리는 시간적 비효율성은 어차피 철학과 4년동안 노는 것도 아니고, 설령 학부 때 논다고 해도 그건 사범대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서 괜찮은데, 가장 고민되는 지점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게 어렵지는 않을까입니다. 아무래도 대학원을 가게 되면 지금 인서울 욕심처럼 좋은 대학원을 가고 싶다는 욕심도 생길 거고(서울대 혹은 고려대 등등), 만약 그러지 못했을 때 학벌 때문에 다시 도전하며 시간 낭비하거나, 적당히 타협했다가 후회하지 않을까라는 고민이 듭니다.서울대 혹은 고려대 등 높은 학벌의 교육대학원을 진학하는 게 그만큼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아니면 욕심을 내려놓고 그냥 사범대로 진학하는 게 나을까요?
학생의 생각, 이해가되고 아저씨는 1980년대 초에 철학과 다님서 돌팔매질 하면서 시국에 대해 토론하던 시절이 떠오르네요. ㅎㅎ
결국 철학과 중퇴하고 타 대학교 법학과 졸업, 공기업 34년 근무, 정년퇴직했답니다.
참 좋지요. 그런데 그것을 대학전공으로 하고 기반으로 교육대학원 진학하는 진로설정은 권하지 아니 합니다.
학생의 얘기를 보고 한참 생각한 끝에 요약된 내용만 적어 보겠습니다.
2. 대학교 이름값에 대한 미련은 후일 교사로 일하면서 서울지역 및 근교권에서 일하게 된다면 유명대의 교육대학원(야간과정) 진학, 석사학위를 받으면 됩니다.
3. 교육대학원 등 기타 대학원은 대학교 즉 학부과정 입시만큼 치열하거나 그렇진 않고 사람들도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서울대 혹은 고려대 등 높은 학벌의 교육대학원을 진학하는 게 그만큼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아니면 욕심을 내려놓고 그냥 사범대로 진학하는 게 나을까요?
- 울나라 같은 학벌사회에선 대학교수로 나가는 과정이 아니라면 대학원과정은 그리 대단한 가치를 지니지 아니하고 학생의 진로계획처럼 그렇게 투자하는 건 추천하지 아니 합니다.
- 한국교원대 진학, 임용고사를 치룰때 만만하게 대해선 안되고 전력투구해야 하는데 사촌누님 아들이 한국교원대 국어학과 졸, 준비 4~5년차에 합격했던 것을 기억 합니다.
- 임용고사 치룰때 비사범대 출신, 교육대학원 출신자에 대한 가산점은 어떻게 해결되는지 이것도 고려해야 할 요소인데 교육대학원 출신도 가산점을 받는지에 대해선 모르겠네요.
(이것저것 골치아프게 하지 말고 걍 한국교원대 진학이 젤 속 편합니다.)
- 임용고사 준비, 전투에 임할때 처음 1~2회는 서울, 인천 등으로 응시, 서울대, 고대의 교육대학원 진학하는 로드맵을 만드는 과정을 고려해볼만 하다고 생각 합니다.
권하고 싶지 아니 합니다. 지금은 번역본이 나올테지만 당시엔 독어원서강독으로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끔찍 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