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낙하산 공수훈련? 알려주세요. 특전사는 비행기 타고 낙하산 훈련 한다고 들었는데요. 비행기 타기전에 무슨
특전사 낙하산 공수훈련? 알려주세요. 특전사는 비행기 타고 낙하산 훈련 한다고 들었는데요. 비행기 타기전에 무슨
특전사는 비행기 타고 낙하산 훈련 한다고 들었는데요. 비행기 타기전에 무슨 훈련을 하고, 낙하산 훈련 할 때는 어떤 비행기 이며,몇 미터 상공에서 낙하를 하나요?낙하까지 걸리는 시간은 요?훈련때랑 실제 전쟁 중에는 낙하 높이가 다른가요?상세하게 좀 부탁드립니다.
특전사는 비행기 타고 낙하산 훈련 한다고 들었는데요.
비행기 타기전에 무슨 훈련을 하고, 낙하산 훈련 할 때는 어떤 비행기 이며,
훈련때랑 실제 전쟁 중에는 낙하 높이가 다른가요?
공수기본훈련은 3주인데 특수전학교에서 진행하고 1주차 PT, PLF, 접지훈련, 2주차 모형탑, 송풍훈련, 3주차 실제강하(주간 비무장, 야간 비무장, 주간 무장강하, 야간 무장강하)를 4회 합니다.
이 후 자대에 가면 훈련이나 각종 전투력 측정때 강하가 포함될수도 있는데 강하가 있는 훈련이 있을때에는 사전에 여단에서 PLF와 모형탑 훈련 각 지역대별로 합니다.
이 때는 무장을 하고 모형탑을 하기도 합니다.
특수전학교에서 교육과정에서는 C-130 수송기강하 2400피트, CH-47 헬기강하 1800피트, 기구강하는 900피트 에서 합니다.
실제 작전시에는 공중에 노출된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450피트 이하에서 합니다. 국군의날 행사시에 이정도 고도에서 뛰더군요. 고도가 낮아야 단상에서 VIP들이 쉽게 볼수 있죠.
고공강하의 경우 교육과정에서는 3,000~4,000피트에서 기체문이탈을 하고, HAHO의 경우 25,000~30,000피트에서 이탈합니다.
생명줄강하(일명 밀리터리점프)시에는 낙하산이 1초에 8~10미터 정도의 속도로 떨어집니다. 150m 고도라면 지상까지 15~19초 정도 걸립니다. 훈련때에는 수송기강하의 경우 90~100초 정도 걸립니다.
마지막에 라이자를 최대한 당기면 약간 멈추거나 급감속하기도 하는데 실수하면 엄청나게 위험한 방법입니다.
실수했을때 고도가 약간만 높으면 거의 뒤집히다시피하면서 패대기쳐져서 허리가 부러지거나 뒤통수가 깨질수도 있죠.
나 안기부맞아란 책이 있었는데 (안기부 소송으로 전량 회수된 책임) 과거 안기부 직원이 몇몇 사건을 포함해서 저술했었습니다. 여기에 나온 일화중엔 과거 어떤 공작원이 동해 공해상 상공 3만피트정도에서 이탈후 HAHO로 북한 내륙지역에 침투한적도 있었다고 하죠. 3만피트는 산소가 희박하고, 기온이 영하 40도이하로 떨어지기도 하므로 휴대용산소통과 산소마스크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