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title icon
건축 사무소 건축기사 자격증 안녕하세요. 저는 건축학과를 나오지는 않았지만 우연히 건축사무소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건축사무소에서 경력을
안녕하세요. 저는 건축학과를 나오지는 않았지만 우연히 건축사무소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건축사무소에서 경력을 실무 경력을 쌓은 후에 건축기사를 딸 수 있는 자격이 생길까요?길게는 감리사와 건축공무원까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주변에 건축 쪽에서 종사하고 계신 분들이 없어서 물어볼 곳이 없어 이렇게 올리게 되었습니다.건축사무소에서 일한 경력만으로도 1) 건축기사 자격증을 습득할 수 있는지2) 감리사가 될 수 있는지3) 건축공무원이 될 수 있는지4) 건축사도 시험도 응시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 경력 인정을 건축기사를 따고 나서 부터인지, 아니면 건축기사를 땄을때 이전 경력까지 포함해서 경력 인정을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
1) 건축기사 자격증을 습득할 수 있는지
아뇨 가능 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건 질문자 님도 답답하겠지만 건축사무소 일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건축관련 경력으로 인정 되는게 아니라,
사무소 내에서 어떤 파트로 어떤 일을 하고 있냐가 중요합니다.
정말 극단적 예시로 건축 사무소에서 일하고 있다 - 경비로요 라고 한다면 그 경력은 건축기사 자격증 시험에 인정이 될까요? ㅎㅎ
당연히 안되겠죠?
2) 감리사가 될 수 있는지
최소 조건은 국내 3년제 전문학사 이상 학위와 건축산업기사 이상 자격증을 취득하고, 건설업체 근무 경력이 1년 이상이 된다면 누구나 현장감리 업무는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 현장 감리 업무를 보려는게 아니라 전문적인 건축감리사를 말씀하시는 거라면, 건설기술인 경력수첩 고급 이상을 보유하셔야 합니다.
고급 수첩은 학력, 경력, 교육, 자격 이렇게 4가지 분야에서 역량지수(점수)를 매겨 이를 합산한 총점에 비례해서 받을 수 있으며,
고급(65점 이상) 이상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조건 관련 학사학위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예시로 기사 자격증 보유시 역량지수 30점, 학사 학위 보유시 20점,
총 50점에 경력 3년시 10점 교육을 통해 최대 5점까지 이수 가능해,
3년 경력 + 학사 + 기사 보유하고 교육 5점을 다 들으면 턱걸이로 가능하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3) 건축공무원이 될 수 있는지
이건 본인이 준비하기 나름인데 기사 자격증 등 여러가지 가지고 있으면 채용시 가산점이 있습니다.
관련 자격증이나 면허의 등급에 따라 차등적 가산이 주어집니다.
4) 건축사도 시험도 응시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못합니다.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아무리 경력을 쌓고 전문성을 갖춰도 불가능합니다.
아래는 왜 못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 드리는 응시자격입니다. 이거 말고 다른거 떠드는 사람도 있는데, 2023년 까지 라는 전제조건이 있어 지금은 이 방법으로만 시험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가. 5년제 건축학과 8학기 이상 이수자
나. 건축전공 학사로 건축대학원 입학하여 2학기 이상 이수자
다. 건축비전공 학사로 건축대학원 입학하여 4학기 이상 이수자
위 가 ~ 다 3가지는 대상자 기준으로 해당 조건이 갖춰진 경우 실무수련을 진행할 수 있고,
실무수련 3년 을 진행하고 나면 건축사 면허 시험을 치룰 수 있습니다.
결국 정리하자면 지금 선생님이 선택 가능한 방법은 대학원 입학 후 4학기 이수 또는 건축학사 만들고 대학원 입학해 2학기 이상 이수를 하는 것입니다.
5년제 건축학과에 다시 가는 것은 편입을 하면 3학년 입학을 하게 되기 때문에, 졸업을 해도 6학기로 대학을 다시 가는 것은 효율이 부족합니다.
5) 경력 인정을 건축기사를 따고 나서 부터인지, 아니면 건축기사를 땄을때 이전 경력까지 포함해서 경력 인정을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
이거는 어떤 걸 준비할때 인지를 몰라 답변을 드리기 애매하네요.
정말 건축 쪽으로 목표를 잡고 준비를 하시려는 것 같아 올만에 기분 좋게 열심히 작성해보았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리고 5번 질문은 구체적으로 추가 질문 주시면 답변 정성껏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