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살 대기업 생산직 취업 안녕하세요. 요새 취업 때문에 고민이 너무 많아서 처음으로 글 올려
안녕하세요. 요새 취업 때문에 고민이 너무 많아서 처음으로 글 올려 도움 받아볼려고 합니다. 먼저 많이 창피하지만 제 스펙을 나열하자면학력 : 한국폴리텍 안성캠퍼스, 품질측정과(현 : 나노측정과) 졸업, 내신 4.3 / 자격사항 : 정밀측정산업기사, 운전면허1종보통 / 어학능력 : OPIC - IH / 고교출결 많이 좋지 않음.. 이게 가장 문제경력 :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 2023.12~2024.02 - 집안 압박 때문에 조기 취업했는데 정말 너무나도 적성에 맞지 않아 퇴사 중견기업 제조직 3조 2교대 AOI 2024.04~2025.04 - 집안 사정으로 돈이 너무 필요해서 전공과 관련 없지만 전 회사보다 적성에 잘 맞아 근무1년간 근무하면서 저는 확실히 사무보다는 생산,제조직이 적성에 더 잘맞는 거 같습니다. 때문에 대기업 생산직에 관심이 생겨 고민중인데 무리인가요?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형님들
생산·제조직이 적성에 잘 맞으신다면, 대기업 생산직 도전은 충분히 현실적인 선택이에요. 다만 준비할 점 몇 가지를 정리해 드릴게요.
– 1년간 3조 2교대 AOI 운용 경험으로 ‘교대근무·장비운용·품질관리 역량’을 쌓으셨습니다.
– 정밀측정산업기사 자격증과 나노측정 실습 경험도 ‘정밀·제어 분야’ 생산직에서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어요.
– 산업안전기사, 위험물·전기·기계기능사 등 현장 안전·설비 관련 자격증 취득
– Six Sigma Yellow/Green Belt 과정 이수로 ‘공정개선·품질관리’ 능력을 보여주기
– 전사적자원관리(ERP)·MES 시스템 사용 경험이 있다면 이력서에 꼭 명시
– 제조·생산직 채용공고는 대기업 계열사 홈페이지(현대·기아·삼성·LG 등)와 폴리텍 취업지원센터, 잡플래닛·사람인 같은 채용 플랫폼에서 확인
– ‘제조기술직·생산라인엔지니어’ 등 직무명을 주의 깊게 보고, 지원 자격(학력·경력·자격증)을 미리 점검
– 서류전형에선 교대근무 경험·자격증·현장 개선 사례(예: AOI 검사에서 불량률 줄인 성과)를 구체적으로 담으면 경쟁력이 올라갑니다.
– 체력 테스트·장비 조작 실기 과제 등이 있을 수 있으니, 현재 업무에서 썼던 장비 메뉴얼·인터락 절차·간단한 공정 흐름도 작성 연습
– “왜 사무보다 현장인가?” 질문에 대해,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동기와 비전을 준비
– 폴리텍 동문, 현장 선배·교수님 추천을 통해 비공개 채용 정보를 얻기
– 채용박람회·산업안전·품질 세미나 참여로 얼굴을 알리고, 현장 담당자와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