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 q&a 답변글 문의 드립니다 정신과 약을 먹고 말투가 어눌해지고 라는 글에 답변글 보고 문의
정신과 약을 먹고 말투가 어눌해지고 라는 글에 답변글 보고 문의 드립니다 젤독스캡슐과, 라투다정 부작용 과 최악의 심각한 부작용도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어머님이 약복용중인데 공감가는게 좀 있어서 여쭈어봅니다
가족의 건강 문제, 특히 정신과 약물과 관련된 부분은 더욱 신중하고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 이 답변은 의학적, 법률적 자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어머님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모든 결정은 반드시 담당 의사, 약사, 그리고 법률 전문가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두 약물 모두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Atypical Antipsychotics)'**에 속하며, 주로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 치료에 사용됩니다. 뇌의 도파민과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① 젤독스캡슐 (성분: 지프라시돈, Ziprasidone)
졸음, 어지러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입니다.
소화기계 문제: 구역, 구토, 변비, 소화불량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운동계 부작용: 안절부절못함(정좌불능증), 근육 뻣뻣함, 떨림 등 추체외로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T 간격 연장 (QT Prolongation):
설명: 젤독스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심각한 부작용입니다.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영향을 주어 심장 박동 주기를 비정상적으로 길게 만듭니다.
위험성: 이는 '토르사드 드 포인트(Torsade de pointes)'라는 치명적인 부정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급성 심장마비나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장 질환이 있거나, 다른 QT 연장 유발 약물을 함께 복용 시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MS,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설명: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입니다. 고열, 극심한 근육 경직, 의식 변화, 자율신경계 불안정(혈압 변동, 빠른 맥박 등)이 특징입니다.
지연성 운동장애 (TD, Tardive Dyskinesia):
설명: 장기 복용 시, 혀, 입술, 얼굴 등이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약을 중단해도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설명: 심각한 피부 발진, 고열, 림프절 부종, 내부 장기(간, 신장 등) 침범 등을 동반하는 치명적인 약물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② 라투다정 (성분: 루라시돈, Lurasidone)
정좌불능증 (Akathisia): 가만히 앉아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며 계속 움직이고 싶은 충동. 라투다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부작용입니다.
운동계 부작용: 파킨슨증상(떨림, 경직), 근긴장이상(근육 뒤틀림) 등.
체중 증가 및 대사 이상: 다른 비정형 약물에 비해서는 위험이 낮은 편이지만, 여전히 체중이나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MS) & 지연성 운동장애 (TD): 젤독스와 마찬가지로 발생 가능한 심각한 부작용입니다.
자살* 생각 및 행동의 증가 (블랙박스 경고): 특히 소아, 청소년 및 젊은 성인(24세 이하) 환자에서 주요우울장애 및 다른 정신과적 장애 치료 시, 자살* 생각이나 행동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있습니다.
고프로락틴혈증: 프로락틴 호르몬 수치가 높아져 유즙 분비, 생리 불순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젤독스보다는 발생 빈도가 낮음)
고혈당 및 당뇨병: 드물게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여 당뇨병성 케톤산증이나 고삼투압성 혼수 등 심각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약 처방에 대한 법적 대응 가능 여부 및 처리 순서
네, 의사의 약 처방으로 인해 환자에게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면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이를 **'의료 과실(Medical Malpractice)'**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의료 소송은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인과관계를 입증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기기 쉽지 않습니다.
1단계: 증거 확보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단계)
현재 병원과 과거에 다녔던 모든 병원의 **'의무기록사본 전체'**를 발급받으세요. (진료기록지, 간호기록지, 검사결과지, 처방전 등 모든 기록)
이는 의사가 어머님의 상태를 얼마나 정확히 파악하고 약을 처방했는지, 그리고 약 복용 전후의 상태 변화를 비교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자료입니다.
언제부터 어떤 약을 먹기 시작했고, 그 이후 어떤 부작용(예: 말투 어눌, QT 연장으로 인한 실신, 낙상 등)이 언제, 어떻게 나타났는지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육하원칙에 따라 상세하게 기록하세요. (환자일지 작성)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한 2차 피해(낙상으로 인한 골절 등)가 있다면 관련 진단서, 소견서, 사진, 영상 등을 모두 확보하세요.
의사와의 대화 내용을 녹음하는 것도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단, 본인이 대화에 참여한 경우에만 합법)
다른 병원 의사에게 자문 구하기 (2차 소견): 아는 친한 의사한테 부탁해야합니다.
확보한 모든 의무기록을 가지고, 해당 분야의 다른 대학병원급 의사에게 찾아가 **객관적인 2차 소견(Second Opinion)**을 구하세요. "현재 이런 약을 먹고 이런 부작용이 있는데, 이 처방이 과연 적절했는가?"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과정입니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상담 및 중재/조정 신청:
소송으로 가기 전, 비교적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확보한 증거와 2차 소견 등을 바탕으로 중재원에 상담을 신청하여, 의료 과실 여부에 대한 전문적인 감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과실 가능성이 높다'는 감정 결과가 나오면, 합의나 소송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중재원의 감정 결과나 의사의 과실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면, 의료 소송을 전문으로 다루는 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 대응을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의사의 잘못된 처방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피해, 즉 치료비, 일실수익(일을 못 해 발생한 손해), 간병비, 그리고 정신적 피해보상(위자료) 등을 청구하는 민사 소송을 제기합니다.
의료 과실로 인해 환자에게 심각한 상해가 발생했거나 사망에 이른 경우, **'업무상과실치상죄' 또는 '업무상과실치사죄'**로 형사 고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